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43

연습문제와 응용예제 1 연습문제 ** 문제는 처음에 언급한 책에 나와있습니다 ** 1. 선형 리스트 2. 1번 3. 4 - 2 - 3 - 1 4. katok.append(None) 5.del(katok[7]) 6. 4 - 2 - 3 - 1 7. 4번 8. 4번 2 응용예제 01 카톡 친구 이름과 카톡 횟수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위치를 찾아 삽입하는 프로그램이다. 카톡 초기 정보는 ('친구이름', 연락횟수) 튜플 리스트로 시작한다. ## 함수 선언 부분 ## def find_and_insert_data(friend, k_count) : findPos = -1 for i in range(len(katok)) : pair = katok[i] if k_count >= pair[1] : findPos = i break if findP.. 2022. 10. 7.
선형 리스트의 일반 구현과 응용 1 선형리스트의 데이터 추가 이번엔 고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가 가변적으로 작동하는 범용적인 코드를 작성한다. 먼저 배열에 빈칸을 추가한 뒤 데이터를 넣는다.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면 배열이 생성된다. 이런 방식을 이용하여 선형 리스트 끝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함수를 작성한다. ## 선형 리스트 생성 함수 구현 ## katok = [] # 빈 배열 def add_data(friend) : katok.append(None) KLen = len(katok) katok[KLen-1] = friend add_data('다현') add_data('정현') add_data('쯔위') add_data('사나') add_data('지효') print(katok) 함수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매개변수로 저장할.. 2022. 10. 7.
선형 리스트의 개념과 간단 구현 1 선형리스트의 개념 선형 리스트(Liner List)는 데이터를 일정한 순서로 나열한 자료구조로, 순차 리스트(Ordered List)라고도 한다. 선형 리스트는 입력 순서대로 저장하는 데이터에 적당하다. 선형 리스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가장 기복적인 방법은 배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2 선형리스트의 원리 선형 리스트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법은 선형 리스트에 빈칸을 추가한 후, 삽입할 데이터 자리까지 한칸씩 밀어 자리를 만든다. 그리고 빈 자리에 데이터를 삽입한다. ## 데이터 추가 ## katok = ["다현", "정연", "쯔위", "사나", "지효"] katok.append(None) print(katok) katok[5] = "모모" print(katok) ## 데이터 삽입 ## k.. 2022. 10. 7.
연습문제 1 다음 중 단순 자료구조인 것을 모두 고르시오. 색인 파일, 정수, 리스트, 큐, 실수, 문자열, 트리, 그래프, 순차 파일 답 : 정수, 실수, 문자열 2.다음을 선형 자료구조와 비선형 자료구조로 구분하시오. 리스트, 트리, 큐, 스택, 그래프 답 : 선형 : 리스트, 스택, 큐 / 비선형 : 트리, 그래프 3. ?는 파일 내용을 논리적인 처리 순서에 따라 연속해서 저장하는 것이다. 즉, 입력되는 순서대로 저장된다고 보면 된다. 구조가 간단하기에 저장되는 공간 효율이 높지만, 다른 내용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경우애는 파일 내용을 재구성해야 하므로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답 : 순차 파일 4. ?는(은) 컴퓨터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자려를 구성, 관리, 저장하는 것이다. ?.. 2022. 10. 5.
알고리즘 1 알고리즘 개념과 자료구조의 관계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해 가는 논리적인 과정' 이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상당히 밀접하고 상호의존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학술적인 의미에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정의하면 자료구조란 컴퓨터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자려를 구성, 관리, 저장하는 것이다. 알고리즘이란 컴퓨터 분야나 수학 등 관련 분야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단계적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알고리즘 표현법 알고리즘을 표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일반 언어 표현 자연어를 사용해서 설명하듯이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일반 사람이 이해하기 쉬우나, 코드로 변경하는 것에 한계가 존재한다. 생각 법위를 넓히는.. 2022. 10. 5.
자료구조의 개념과 종류 1 자료구조의 개념 자료구조(Data Structure)는 간단히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효율적인 자료(데이터)의 형태'를 의미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엄청나게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발생되고, 이 정보들을 처리해야 한다. 이런 데이터를 단순하게 저장하면 효율은 많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데이터를 잘 정리해서 저장한다면 데이터를 찾을 때 훨씬 빠르고 효율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즉, 동일한 데이터를 더 효율적인 자료구조에 저장함으로써 다양한 데이터의 관리도 효율적이게 된다. 2 자료구조의 종류 자료구조는 이렇게 4가지 정도로 분류할 수 있다. 단순 자료구조(Simple Data Structure) :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의 데이터 형식 정수 : 소수점이 없는 형태로, int 또는 inte.. 2022. 10. 5.
728x90
반응형